그림책 지도사 3급 과정을 도서관에서 모집했던 때가 기억에 남습니다. 아이들 상대로 보습학원을 할때라 시간이 나면 도서관에서 책을 보았습니다. 그때 우연히 본 모집광고 하나가 저의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림책 지도사 3급 과정"
마침 독서지도사 2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서 좀더 아이들과 친해질수 방법으로 그림책 지도사 과정을 하면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서 선생님에게 수강 신청을 하니 사서 선생님이 외외라는 표정으로 나에게 "선생님 이과정은 수강생이 모두 여자 분들 위주로 신청을 하셨는데 괜찮으시겠어요?"
물었습니다. 저는 "남자는 안되나요? 꼭 수강해 보고 싶어서요" 다시 사서 선생님에게 당부아닌 당부를 했습니다.
"선생님 그런건 아니고요 중간에 빠지시면 안됩니다." "네 한번 해볼께요" 그렇게 수강신청을 하고 수강당일날에 도서관에 찾아갔습니다. 모두들 여자 분들이였습니다. 외외의 인물이 하나 그안에서 눈에 띄었습니다. 바로 저였습니다.
덕분에 남자인 제가 반장을 했습니다. 결석 한번 하지 않고 그 과정을 공부하였고 수강 마지막 때에 시험을 보고 그림책지도사 과정에 합격하였습니다. 수강후 그림책 동아리 반장으로 1년동안 도서관에서 아이들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 봉사를 했습니다. 그림책을 통하여 너무 많은 감동을 받았고 지금도 그때의 좋은 기억때문에 도서관에 가면 가끔 어린이 책 코너에 가서 그림책을 보고 있습니다.
그림책지도의 이해
- 그림책은 가장 편안하고 친절한 장르인것 같지만, 사실 어린이 문학에서 아이가 스스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현대 그림책은 사회적, 문화적,심미적 긴장들을 자아내어 아이들이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갖습니다.
- 그림책이란 문학적인 부분(이야기)과 시각적 부분(그림 이미지)으로 읽혀지는 고유한 형태의 예술 작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그림책을 읽는 목적은 이야기와 그림의 관계속에서 상상하며 즐거움을 얻고 평생 행복한 독자가 되어 그림책을 감상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현대 그림책의 특징 이해
- 영상시대에 맞추어 시각적 이미지 강조를 하고 있습니다.
- 심미적 읽기로 예술적 감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포스트 모더니즘 영향으로 서사 방법의 변화가 있습니다.
- 다양한 주제별 그림책 종류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대에 세계 다문화 그림책 읽기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 독자의 확대 영향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그림책 읽기가 가능해졌습니다.
그림책의 융합 읽기
- 좌뇌기능은 주로 지식, 판단력, 사고력을 지배하므로 논리 뇌, 언어의 뇌, 지성뇌라 불립니다.
- 우뇌의 기능은 음악, 회화,도형, 색채,이미지, 비언어적 관념, 공간인식, 입체 인식, 상상과 창조, 상상력과 이미지를 담는 구조입니다.
'해피글밥 그림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피글밥 그림책 이해2 (0) | 2025.05.05 |
---|